본문 바로가기

미시경제

공무원 연가보상비 란? (계산방법, 연가일수 산정)

공무원 연가보상비의 계산 방법과 관련된 사항을 정리하면서, 필요한 부분은 보충하여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공무원 연가보상비 개요

1. 연가보상비란 무엇인가?

  • 정의: 공무원 연가보상비는 공무원들이 법적으로 부여받은 연가 중 20일 이내 사용하지 않은 일수에 대해 지급받는 금액입니다.
  • 연가 사용과 연차: 일반 근로자들은 "연차"라고 부르지만, 공무원의 경우 이를 "연가"라고 칭합니다.

 

2. 연가보상비 지급 조건 및 시기

  • 지급 대상:
    • 1급 이하 공무원 및 상당하는 군인
    • 고위공무원단
    • 12등급 이하 외무 공무원 및 이에 상당하는 공무원
  • 지급 시기: 지자체마다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연말에 지급하며, 6월 30일 기준으로 상반기 연가보상비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무원 연가 일수 산정 방법

1. 연가 일수 산정 기준

  • 재직 기간에 따른 연가일수:
    • 1개월 ~ 1년 미만: 11일
    • 1년 ~ 2년: 12일
    • 2년 ~ 3년: 14일
    • 이후 연수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6년 이상은 21일
    • 공무원 연가일수 표
      공무원 연가일수 표
  • 특이사항:
    • 근무일수가 15일 이상인 경우 1개월로 계산
    • 육아휴직, 퇴직, 질병휴직, 신규임용 등의 상황에서 월할 계산 적용
    • 남성의 경우 군 경력도 재직기간에 포함

 

2. 특별한 경우의 연가일수 산정

  • 육아휴직: 첫째 자녀의 경우 1년까지만 재직 기간에 포함, 둘째 자녀부터는 휴직기간 전체가 포함됨

 

공무원 연가보상비 계산 방법

1. 연가보상비 계산식

  • 기본 계산법: 연가보상비 = 본봉 x 0.86 / 30 x 연가보상일수
  • 예시: 본봉이 2,000,000원이고, 남은 연가일수가 5일인 경우, 하루 약 57,000원이며, 총액은 약 285,000원

2. 연가가산

  • 가산 조건: 전년도에 사용하지 못한 연가가 1일 이상 남아 있는 경우
  • 병가 사용 시: 0.5일(8시간 미만) 사용 시 1일을 가산

3. 시간선택제 공무원 연가 계산

  • 계산 방법: 재직기간별 연가일수에 근무시간을 곱하여 산정, 시간 단위로 계산
  • 근무시간 비례 산정: 주당 근무시간에 따라 연가시간을 비례 산정

 

이상으로 공무원 연가보상비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계산 방법을 정리해 드렸습니다. 추가적인 질문이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2023.12.04 - [미시경제] - 2024년 공무원연금 인상률 전망

 

2024년 공무원연금 인상률 전망

2024년을 맞아 공무원연금의 인상률에 대한 기대와 전망에 대해 알아봅시다. 공무원연금은 공무원들의 노후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사회보장성 연금으로, 연금뿐만 아니라 재해 보상, 부

chusechujong.mabempapa.com

 

2023.11.30 - [미시경제] - 7급 공무원 연봉과 월급 상세 분석 (2023년)

 

7급 공무원 연봉과 월급 상세 분석 (2023년)

이번 글에서는 2023년에 대한 7급 공무원의 연봉과 월급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7급 공무원의 봉급, 수당 체계, 그리고 2023년 연봉 인상률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여 제공합니다. 공무원 수

chusechujong.mabempapa.com

 

2023.05.07 - [보험, 법률] - 65세 정년연장 시행 시기 논쟁점

 

65세 정년연장 시행 시기 논쟁점

정년을 65세 가지 연장하는 안에 대해 찬반여론이 있으며 공론화되고 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65세 정년연장 시행시기 및 공론화 내용에 대해 정리해 봅니다. 65세 정년연장 공론화 - 2022년 5월 대

chusechujong.mabempap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