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소비자물가 5% 육박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4.8% 오르며 2개월 연속 4%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개월 연속 4%대를 기록한 건 2011년 11월과 12월 이후 처음이다. 상승 폭도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인 2008년 10월(4.8%) 이후 13년 6개월 만에 최대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6.85(2020=100)로 1년 전보다 4.8% 상승했다. 상승 폭은 전월(4.1%)보다 0.7%포인트(p) 확대됐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0월(3.2%), 11월(3.8%), 12월(3.7%), 올해 1월(3.6%), 2월(3.7%)까지 5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 3월에는 4%대로 오르더니 지난달 5%에 육박한 수치를 보였다.
상품과 서비스 물가는 각각 1년 전보다 6.6%, 3.2% 상승했다. 상품 중 농축수산물 물가는 1.9% 상승했다. 채소류 가격이 5.4% 내려가며 농산물 물가는 1.4% 하락했으나 축산물과 수산물 가격이 각각 7.1%, 2.3% 올랐다.
주요 등락 품목을 보면 파(-61.4%), 사과(-23.4%), 양파(-39.1%) 등은 하락했으나 수입 쇠고기(28.8%), 돼지고기(5.5%), 국산 쇠고기(3.4%), 닭고기(16.6%), 포도(23.0%) 등 품목에서 가격이 상승했다.
공업제품은 7.8% 올랐다. 2008년 10월(9.1%)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특히 석유류 가격이 34.4%나 뛰었다. 휘발유(28.5%), 경유(42.4%), 등유(55.4%), 자동차용 LPG(29.3%) 등이 모두 상승하면서다. 석유류가 전체 물가에 미친 기여도는 1.48%p로 조사됐다. 빵(9.1%) 등 가공식품 가격도 7.2% 상승했다. 2012년 2월(7.4%) 이후 10년 2개월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다.
전기료(11.0%), 도시가스(2.9%), 상수도료(4.1%) 등이 모두 오르면서 전기·수도·가스요금은 1년 전보다 6.8%나 껑충 뛰었다. 지난달 연료비 연동 기준으로 공공요금 인상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기후환경 부과금 인상도 전기료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서비스물가 중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0.7%에 그쳤다. 외래진료비(2.3%), 국제항공료(16.2%) 등이 올랐으나 유치원 납입금(-18.6%), 부동산중개수수료(-7.7%) 등이 하락하면서다.
반면 개인서비스 물가는 4.5%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생선회(10.9%), 치킨(9.0%) 등 외식 물가가 6.6% 상승했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1998년 4월(7.0%) 이후 24년 만에 최대다. 다만 3월에도 지난달과 같은 수준의 상승 폭을 보였다. 공동주택관리비(4.7%), 보험서비스료(10.3%) 등 외식외 개인서비스 물가는 3.1% 올랐다.
집세는 전세(2.8%)와 월세(1.0%) 등이 모두 오르면서 2.0% 상승했다.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보다 5.7% 상승했다. 이는 2008년 8월(6.6%) 이후 13년 8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생선, 해산물, 채소, 과일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5개 품목의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동월 대비 1.0% 올랐다. 지난 1월 이후 3개월 만에 오름세로 전환했다.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3.6% 상승했다. 2011년 12월(3.6%) 이후 10년 4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전년보다 3.1% 상승했다. 2009년 5월(3.1%) 이후 12년 11개월 만에 가장 크게 상승했다.
금리 인상 압박 커져
이처럼 물가가 지속적으로 크게 오르면서 금융당국의 금리 인상 압박은 더 심해질 전망이다.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렸다는 것(인플레이션)으로 이를 완화할 수 있는 수단은 금리 인상이 대표적이다.
여기에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도 금리 인상 조치가 잇따를 것으로 보여 이달 26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결과가 주목된다.
실제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은 3일(현지시간) 열리는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하는 이른바 '빅스텝'을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특히 연준이 추후 금리를 한꺼번에 0.75%포인트를 올리는 등 이른바 '자이언트 스텝'을 계속할 것이라는 예상까지 나온다.
출처)
오늘자 주요 일간지 뉴스들 종합
'미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형태근로종사자(특고), 택시기사 등에 지원금 지급 계획 (0) | 2022.05.08 |
---|---|
신종자본증권(코코본드)이 최근 인기인 이유 (0) | 2022.05.04 |
은행의 대출만기 연장이 노리는 효과 (0) | 2022.05.01 |
재민신협 예금 연 3.3%(15개월), 연 3.2%(12개월) 특판 - 5월 1일부터 (0) | 2022.05.01 |
의왕신협 3.25% 예금특판 정보 (0) | 2022.04.30 |